오스트리아학파 자본론의 창시자: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 (Eugen von Böhm-Bawerk)

Eugen von Böhm-Bawerk (1851-1914)

1851년 2월 12일에 태어나, 1914년에 영면한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는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발전에 엄청난 족적을 남긴 학자이다. 그는 비엔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그가 20살이던 1871년에 카를 멩거(Carl Menger)의 ‘<경제학의 기본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 1987. 번역판: 국민경제학의 기본 원리, 민경국 역)가 출판되었는데, 전공이 달랐기 때문에 멩거의 학생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는 1875년에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모국인 오스트리아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기 위해 국내외에서 여러 준비를 했다.

법학과 경제학의 병행은, 1893년에 발표한 “자연적 가치”(Natural Value)로 명성을 쌓은, 그의 대학 동기이자 추후 처남이 된 프리드리히 폰 비저(Friedrich von Wieser)와 같은 선택이었다. 멩거와 비저의 강력한 영향은 뵘-바베르크의 사고를 바꾸었고, 그는 자연스럽게 오스트리아학파 이론의 개발 및 발전에 전념하게 되었다. 슘페터(Joseph Schumpeter)에 따르면,

뵘-바베르크는 철저하고 열광적인 멩거의 추종자였다. 멩거 외의 그 누구에게도 영향을 받지 않은 것 같다.(Böhm-Bawerk was so completely the enthusiastic disciple of Menger that it is hardly necessary to look for other influences.)

뵘-바베르크의 학문적 경력은 종종 중단되었다. 그의 학문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1881년부터 1889년까지 인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재직하던 시절이었다. 대표작인 <자본과 이자>(Capital and Interest)의 총 3권 중 2권이 그 시기에 저술되었기 때문이다. 삶의 후반기에 접어든 1890년대 이후부터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재무 장관으로 장기간 재직했다. 그의 오랜 봉직 생활은 추후 100 실링 도안에 그의 초상화가 채택되면서 영광스러운 보상을 받았다. 1904년에야 그는 장관직에서 은퇴하고 비엔나 대학교의 석좌 교수로서 학계에 복귀했는데, 은퇴한 멩거의 자리를 승계한 비저가 동료로 있었다. 뵘-바베르크는 1914년에 사망했다. 그의 마지막 10년을 거쳐간 비엔나 대학교 학생으로는 슘페터와 미제스(Ludwig von Mises)가 대표적이었다.

그의 대표작인 1,200 페이지 분량의 <자본과 이자>는 1959년 한스 센홀츠(Hans Sennholz)와 조지 헌케(George Huncke)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미제스는 이 기념비적인 저서를 현대 경제학에 대한 가장 뛰어난 공헌이라고 평하면서, 이 책에 혁신적인 개념에 완전히 익숙하지 않은 그 누구도 경제학자가 될 수 없으리라고 주장했다. 심지어, 그는 시민으로서의 의무, 예컨대 투표권 등은 뵘-바베르크의 책을 읽기 전까지는 동결되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총 세 권으로 구성된―영역본은 하나의 통합본으로 출판되었다. ― <자본과 이자>의 제1권은 1884년에 발표된 <이자 이론의 역사와 비판>(History and Critique of Interest Theories)이다. 이 책은 사용, 생산성, 절제 등 이자의 여러 특성들을 다양한 주제와 관련지어 광범위하게 탐구했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카를 마르크스(Karl Marx)와 그 후계자들이 전개한 착취 이론을 완전히 괴멸시켰다는 점이다. 자본가는 노동자를 착취하지 않는다. 자본가는 노동자가 생산한 상품이 판매되기에 앞서 소득을 제공하면서 그들의 생활을 보조한다. 이 책으로부터 10년 뒤, 뵘-바베르크는 사회주의를 반박하는 <카를 마르크스와 그 체계의 종언>(Karl Marx and the Close of His System)을 발표했다. 이 책에서 그는 “수입이 생산요소들 사이에서 어떻게 배분되는가”의 문제가 정치적이 아니라 경제적 문제임을 재확인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학파의 입장에서 노동가치론과 소위 임금의 철칙(iron law of wages)을 효과적으로 반박했다.

<자본과 이자>의 제2권 <자본의 실증이론>(Positive Theory of Capital)은 1889년에 발표되었으며, 그의 가장 견고하고 심오한 업적, 즉 시간의 의미와 시간적 생산과정(time-consuming production processes)과 그것이 수반하는 이자 비용(the interest payments)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멩거의 경제학의 기본 원리에 철저하게 기반하여 저술된 제3권 <가치와 가격>(Value and Price)은 오스트리아학파의 한계주의(marginalism)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의 143 페이지에 있는 농부의 예, 즉 어떤 농부가 그의 곡식을 다양한 사용처에―먹기 위해, 병아리 사료로, 앵무새 사료로, 그리고 브랜디의 원료 등으로― 소비하는 시나리오를 통해 뵘-바베르크가 제공하는 오스트리아학파 한계이론의 설명은 매우 뛰어나다. 이 이야기 및 변형들은, 오스트리아학파 한계주의가 제본스(William Stanley Jevons)나 발라(Leon Walras)의 한계주의와는 완전히 다름을 설명하기 위해 수십 년에 걸쳐 교과서적인 사례로 인용되어 왔다.

제2권의 세 번째 개정판에 수록된 부록 <자본과 이자에 관한 다른 논고들>(Further Essays on Capital and Interest) 역시 독립적인 책으로 1921년에 출판되었다. 여기서 뵘-바베르크는 그의 이론을 질적으로 개선하고, 명료화하고, 확장했으며, 자신에 대하 비판에도 대응하였다. 이 책은 이렇게 많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뵘-바베르크의 수사적 능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비록 그가 경제학자이지만, 그 수사적 강력함은 변호사가 연상될 정도이다. 뵘-바베르크는 자시의 이론과 아주 유사한 이론들에 신랄한 비판을 가한다. 예컨대 그는 이자율이 기다림의 수요-공급 균형(the supply and demand for “waiting” into balance)을 형성한다는 구스타프 카셀(Gustav Cassel)의 주장을 단호히 거부하였다. 오스트리아학파가 주로 방법론적 문제를 파고드는 것으로 유명함에도, 뵘-바베르크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전 방향적인 비판을 가하는 전략을 선호했다. 그의 이런 면모는 슘페터의 함축적인 격언을 연상케한다: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혹은 전혀 고려하지 말라, 그 대신에 가능한 모든 방법을 총동원해 더 정력적으로 행하라.(Write little or nothing on method, and instead work the more energetically with all available methods.)

만약 자본을 중간재(intermediate goods)의 시간적 구조(intertemporal structure)라고 말할 수 있다면, 현대 경제학은 자본에 대해 완전히 무관심하다고 볼 수 있다. 생산은 시간이 걸린다. 자본은 여러 기간이 소요되는 생산계획의 수립’the formulation of multiperiod production plans)과 소비자 수요의 만족 사이의 시간적 구분을 연결한다. 오늘날의 경제학 교과서는 경제적 현실의 이 측면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그저 ‘자본에 관한 곤란한 문제들’ 정도로만 치부하고 있을 뿐인데, 물론 이 표현은 이 중요한 주제의 가치를 무시하는 경멸적 표현이다. 주류 경제학은 자본 이론에 있어 심각한 빈틈을 가지고 있지만, 오스트리아학파는 그 전통이 시작할 때부터 언제나 자본 이론에 관한 독보적 탁월함을 자랑해왔다. 뵘-바베르크는 주류 경제학이 말하는 소위 곤란한 문제들에 완전히 통달했었고, 그의 학문적 경력의 주요 목적이 바로 자본과 이자의 관계를 이해하고, 가치 이론을 시간 배치의 맥락(the context of intertemporal allocation)에까지 확장하려는 것이었다.

뵘-바베르크의 경력 초기 시절에는 “이자를 자본가들에게 지불하는 것이 정당한가?“라는 질문이 화제가 되었고, 그 역시 이 사안에 골몰했다. 뵘-바베르크에 따르면 이는 정당하며, 그 정당성은 현실의 단순한 사실에서 기안한다. 다른 조건이 같다면, 사람들은 미래재(future goods)보다 현재재(present goods)를 더 선호한다. 그래서 우리는 미래재가 할인되어 거래되거나, 현재재의 거래에 할증(premium)이 붙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자 지불은 바로 이 가치의 시간적 차이(intertemporal value differential)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나. 이자 또는 할증이 자본가에게 지불되며, 반면 노동자는 보다 현재 지향적인 소득을 얻는다. 뵘-바베르크의 차익 이론(agio theory)은 착취 이론의 대척점에 있다. 그리고 의심할 여지없이, 경제사상사 전문가들은 뵘-바베르크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사회주의 원리를 논박하고,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개척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자본의 실증이론>은, 스스로 창안한 일반균형의 거시경제적 모델을 다룰 때 최고점에 이룬다. 그의 모델은 자본 축적과 기술 진보에 관한 고전적인 논란을 조명하고, 이자율의 존재 및 결정에 관한 신고전파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많은 사안들을 일소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는 시장 임금률을 감안할 때,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자본가-기업가들이 노동력을 최대로 고용할 뿐만 아니라, 경제의 생존 기금(subsistence fund) 역시 완전히 흡수하는 생산활동을 전개함을 증명하기 위해 자신의 차익 이론과 맹거의 한계가치 이론을 결합하였다. 초기 오스트리아학파의 근본적 통찰에 입각해 경제 전반을 조망하면서, 뵘-바베르크는 생산의 시간적 구조(the intertemporal structure of production)를 노동자와 기타 소득 취득자의 시간 간 선호(the intertemporal preferences)와 연결했다. 약 50여 년 후 존 메이너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가 <일반이론>(General Theory)에서 정 반대의 주장을 펼치기 이전에, 이미 <실증이론>에서 뵘-바베르크는 노동 시장과 대출 시장, 좀 더 넓게 보자면 생존 시장(the market for subsistence)이 동시에 각각의 균형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대적 개념이 없었던 시절의 경제학자들을, 후학의 입장에서 평가하자면, 뵘-바베르크는 분명 ‘거시경제학자’이다. 비슷한 예로, 리카도(David Ricardo) 역시 거시경제학자로 간주될 수 있다. ‘거시경제학’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것으로,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이 본격적으로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구분 위에서 경제적 문제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 구분의 기원은 라그나르 프리시(Ragnar Frisch)와 얀 틴베르헌(Jan Tinbergen)에게서 찾을 수 있으며, 용어 자체의 첫 등장은 에릭 린달(Erick Lindahl)의 1939년작 저작물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보다 앞서서, 1891년에 이미 뵘-바베르크는 그의 에세이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들>(The Austrian Economists)에서 이렇게 말했다.

“발달한 경제의 거시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론 미시적 측면 역시 공부해야 한다.”(One cannot eschew studying the microcosm if one wants to understand properly the macrocosm of a developed economy.)

이 방법론적 격언은 거시경제를 이해하려는 그의 의도와, 미시경제학적 기초가 역동적인 거시경제학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통찰이 동시에 함축되어 있다. 그러나 주류 경제학은 1960년대에 들어서야 겨우 이런 견해를 받아들였을 뿐이다.

자본과 이자의 거시경제학을 설명하고, 생산의 시간적 구조를 묘사하기 위해 소위 과녁의 정중앙(Bull’s eye)라고 불리는 동심원 패턴을 제안했다. 생산은 원의 중앙에서 시작된다. 초기에는 본래적 수단, 즉 토지와 노동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 과정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원을 그리며 외부로 확장한다. 소비자의 궁극적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종 생산물은 원의 가장 바깥 쪽에서 생산된다. 선진국형 경제와 후진국형 경제 역시 두 개의 패턴을 대조함으로써 가능하다. 뵘-바베르크의 이런 색다른 묘사는 매우 선구적이다. 하이에크(F.A. Hayek)는 양차 대전 사이의 수단-목표 구도(the means-ends framework)를 직설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뵘-바베르크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바로 그 유명한 하이에크 삼각형(The Hayekian triangle)이 그 결과물이다. 다만 뵘-바베르크와 달리, 생산구조의 핵심을 설명하려는 하이에크의 시도는 직선을 주로 사용한다. 물론 그가 비선형의 중요성을 부정한 것은 아니다. 시간 축에 따라 생산 단계(stages of production)를 나누는 하이에크 삼각형의 특성은, 뵘-바베르크 모델에서 반지름에 따라 성숙 정도(maturity classes)를 나누는 점과 매우 밀접하게 일치한다.

비록 그 정태적인 구조 때문에 현실성을 의심할 수도 있지만, 하이에크 삼각형과 마찬가지로 뵘-바베르크 모델 역시 변화의 분석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다양한 원 사이의 자원 배치를 지배하는 시장의 힘의 본질은 무엇인가? 뵘-바베르크 분석의 형식은, 단순한 그림과 약간의 산술적 묘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독자로 하여금 모델의 이해를 돕는다. 그러나 그 모델은 뵘-바베르크가 말하고자 하는 전체 이론의 서막에 불과하다.

뵘-바베르크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변화 과정의 본질에 관한 비형식적인 분석이다. 그것은 전혀 정적인 묘사라고 볼 수 없다. 정적 상태의 경우, 동심원에 관한 두 가지 해석이 있다. (a) ‘생산 과정’은 초기 요소투입(earliest input)에서 ‘최종 산출물’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행된다. (b) 원의 면적은 주어진 시점에 동시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자본’―’과정에 있는 재화'(goods in process)―의 양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정적 상태의 묘사는, 변화에 관한 논의의 첫 출발점에 불과한 것이다.

뵘-바베르크는 “단지 이전 규모의 자본량을 그대로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What is the procedure if we wish just to preserve the amount of capital in its previous magnitude?)라는 간단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더 중요한 질문인 “자본 증대가 있기 위해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하는가?“(What must be done if there is to be an increase in capital?)를 묻고자 한다. 이 질문은 오스트리아학파 거시경제학을 오늘날의 주류 거시경제학과 구분 짓는 핵심인데, 그 답은 동심원의 변화에 있다. 여러 형태의 변화가 가능하지만, 모든 변화는 다음과 같은 핵심적 명제를 기초로 한다.

실질 저축은 소비의 희생, 그리고 원의 중심에서 보다 멀리 떨어진 자본의 희생에 의해서만 얻을 수 있고, 저축은 원의 중심에 있는 자본의 확대를 가능하게 한다.(real saving is achieved at the expense of consumption and of capital in the outer rings and that the saving makes possible the expansion of capital in the inner rings.)

시장경제의 기업가들은 이런 구조 변화를 이끌며, 그들의 노력은 다양한 원 속에 있는 자본재의 상대가격에 변화에 의해 유도된다.

형식적이던, 비형식적이던, 뵘-바베르크가 하고자 하는 말은 분명하다: ‘자본구조의 확대는, 각 성숙 정도에 있는 자본의 동시적이고 일률적인 증가로 간주될 수 없으며, 여러 성숙 정도에 있는 자본의 ‘재배치’로 보아야 한다. 뵘-바베르크 이전의 경제학자들은 이 점을 간과했으며, 현대 주류경제학도 역시 대체로 무시하지만, 이 점은 시간 간 소비자 선호(the intertemporal preferences of consumers)에 따라 시간 간 생산계획( intertemporal production plans)을 맞추려는 시장의 메커니즘이다. 이 시장 기능의 중요성은 그가 클락(John B. Clark)과 논쟁할 때 쟁점이었다. 클락은 일단 자본이 형성되면 그 유지는 ‘자동적’이며, 생산과 소비가 사실상 ‘동시에’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물론 뵘-바베르크가 토론에서 승리했고, 후에 하이에크 역시 프랭크 나이트(Frank Knight)와의 논쟁에서 비슷한 승리를 거뒀다고 유추할 가능성이 높지만, 오늘날의 주류 경제학은 클락과 나이트가 승자라고 암묵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현대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들은 뵘-바베르크가 미제스와 하이에크에 의해 형성된 오스트리아학파 경기변동이론에서 아주 약간 떨어져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경기변동이론은 선호도(preference-induced) 혹은 정책(policy-induced) 중 어떤 것에 근거하여 원의 구성이 변화했는지에 대한 비교를 수반하고 있다. 저축 증대가 이끈 시간 간 선호의 변화는 경제를 자본 축적과 지속 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원 내부의 자본을 재배치한다. 그러나 정책에 의해 야기된 신용조건의 변화, 혹은 새롭게 창출된 화폐로 인해 형성된 이자율의 인하는 경제를 지속 불가능한 성장과 경제 위기로 향하도록 원 내부의 자본을 잘못 배치한다.

뵘-바베르크가 그의 이론을 경기변동에 이르기까지 발전시키지 못한 이유는 간단하다. 그는 스스로 통화 이론을 탐구하려는 모험을 꺼려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태도는 그가 시장이자율과 자연이자율의 격차에 관하여 오스트리아학파에 중대한 기여를 한 스웨덴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Knut Wicksell)에게 보낸 편지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나는 화폐 문제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생각하거나 탐구한 적이 없다. 그래서 나는 이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I have not myself given thought to or worked on the problem of money as a scholar, and therefore I am insecure vis-à-vis this subject.)

또 1912년 편지에서는

당신 역시 내가 극도로 어려운 주제인 화폐 이론에 대해 별로 유능하지 않음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You know that I do not really feel competent as regards the extremely difficult theory of money.)

마찬가지로 1912년 편지에서, 뵘-바베르크는 미제스가 처음으로 오스트리아학파 경기변동이론을 제시한 <화폐와 신용의 이론>(The Theory of Money and Credit, 1912. 번역판: 김이석 역, 2011)을 언급하면서, 빅셀에게 이렇게 말했다.

미제스는 나와 비저 교수의 학생이다. 그러나 이것이 내가 그의 모든 견해에 책임이 있으며 공감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나는 지금 막 그의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그 내용은 나에게 아직 낯설다.(a book on the theory of money by a young Viennese scholar, Dr von Mises. Mises is a student of myself and Prof. Wieser, which, however, does not mean that I would want to take responsibility for all his views. I have just begun to read his book myself, and am not yet familiar with its content.)

마지막으로, 그가 죽기 직전 해인 1913년에,

나는 아직도 나의 사고 속에 화폐 이론을 포함시키지 못했다. 나는 그래서 그 책이 제기하고 있는 어려운 질문들에 대해 판단을 내리지 못하겠다.(I have not yet included the theory of money in the subject-matter of my thinking, and I therefore hesitate to pass a judgement on the difficult questions it raises.)

슘페터가 뵘-바베르크의 연구에서 제외된 주제 5가지를 정리한 바 있는데, 화폐는 물론 그중 하나로 포함되었다. 뵘-바베르크는 화폐수량설이 ‘진리의 파괴 불가능한 핵심’임을 인정했으나, 화폐가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다는 생각 역시 받아들였다. 당연히 화폐 이론과 상호보완적인 경기변동이론 역시 그가 연구하지 않은 영역이었다. 뵘-바베르크는 경제 위기를 그저 “내재적 혹은 일률적인 경제현상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경제 과정의 우연한 교란의 결과”(neither an endogenous nor a uniform economic phenomenon but rather the consequences of what are in principle accidental disturbances of the economic process)라는 입장을 취했다.(그 외에도, 인구론, 국제무역론, 그리고 가격과 분배의 이론 등이 뵘-바베르크의 주제가 아니었다.)

우리는 뵘-바베르크가 범한 태만의 죄를 물론 쉽게 용서할 수 있다. 그가 남긴 엄청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업적을 남겼다는 이유만으로 우리가 그에게 불평할 자격은 없다. 다만 이 지점에서 우리가 반드시 각인해야 할 사실이 있다. 미제스, 하이에크, 그리고 다른 여러 사람들에 의한 오스트리아학파의 발전이, 뵘-바베르크를 더 위대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뵘-바베르크 경제학이 완벽했던 것은 아니다. 오늘날의 오스트리아학파는 그에게 몇 가지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그의 이론의 ‘주관주의적’ 성격은 불충분하다. 이자의 차익 이론에 대한 그의 방어는 불필요한 ‘심리적 호소’에 기대고 있다. 생산 시간(production time)에 대한 그의 고려도 미래지향적이지 않고 과거지향적이다. 오스트리아학파 외부에서의 비판은, 주로 뵘-바베르크의 산술적 묘사에 관한 잘못된 지적과, ‘신고전파’의 언어로 그의 이론을 재해석하려는 시도에서 나온다. 이자율과 생산 과정의 우회 정도(round aboutness in the production process)에 관한 그의 결론 역시, 그의 생각보다 덜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경제의 시간 간 자본구조는 한 수(a single number)로 축소될 수 없다. 평균 생산 기간이 이자율에 달려 있다는 그의 견해는 그의 이론 많은 부분을 스스로 무효화했다. 다행히도 이런 비판들이 뵘-바베르크와 오스트리아학파 이론의 핵심 개념들을 손상시킬 정도는 아니다.

슘페터와 같은 훌륭한 경제학자도 이자를 ‘불균형 현상’이라고 주장했으며, 시장의 힘이 이자율을 영(zero)으로까지 압박하는 곳에서 장기 균형(long-run equilibrium)이 달성된다고 생각했다. 케인스는 이자가 ‘순수한 화폐적 현상’이라고 생각했다. 클락을 계승한 나이트는 생산과 소비는 동시에 일어나고, 생산기간은 무시해도 되며, 이자율은 전적으로 ‘기술적 고려’에 의해 결정된다는, 하이에크가 ‘자본의 신화’라고 명명한 주장을 전개했다. 자본과 이자에 관한 20세기의 여러 왜곡 및 변화가. 뵘-바베르크의 영원한 지혜의 중요성을 더 크게 만들었다.

 

작성 : 로저 개리슨 (Roger W. Garrison)

번역 : 김경훈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