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2015] 과학이론과 역사학 · Theory and History

작성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 (Ludwig von Mises)
작성일
2019-11-23 18:40
조회
1780


자본주의에 대한 비난은 정당화될 수 없다. 그 신조가 어떤 윤리적 교리 혹은 십계명에 기초하고 있다해도 말이다. 자본주의는 인구를 배로 늘리고, 자본주의 국가의 대중들에게 역사상 가장 높은 생활수준을 제공해주었다. 종교적 관점 역시 마찬가지다. 유아 사망률의 감소, 평균 수명의 연장, 전염병 및 질병, 기근, 문맹, 그리고 미신에 대한 성공적인 방어는 자본주의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증거다.
There is nothing in any ethical doctrine or in the teachings of any of the creeds based on the Ten Commandments that could justify the condemnation of an economic system which has multiplied the population and provides the masses in the capitalistic countries with the highest standard of living ever attained in history.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too, the drop in infant mortality, the prolongation of the average length of life, the successful fight against plagues and disease, the disappearance of famines, illiteracy, and superstition tell in favor of capitalism


번역본 출판사 지만지
ISBN 원서 9781933550190
번역본 9791130468037
페이지 원서 384
번역본 529
번역자 박종운
판매처 네이버 가격정보 (링크)

Ludwig von Mises - Theory and History: An Interpretation of Social and Economic Evolution (다운로드)

미제스는 일찍이 ≪사회주의≫(1922)에서 사회주의를 존속 불가능한 체제라고 비판했다. 사회주의의 핵심 문제점을 드러낸 것이다. 그런 뒤 마지막 남아 있는 신화인 역사 발전 경로에 대한 잘못된 믿음, 즉 사적 유물론 비판에 나섰다. 사회주의 체제를 방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진보라고 칭하는 현상이 여전히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제스는 ≪과학이론과 역사학≫(1957)을 쓰게 되었다.

미제스는 마르크스 등의 사적 유물론과 달리 역사가 개인 혹은 개인들의 그룹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보았다. 바로 이 개인들이 각자의 목적을 가지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동한다. 개인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실천하는 것이다.

역사학에서 궁극적인 기정사실은 개인성이다. 모든 역사적 현상이 개인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그 무엇인가가 개별 인간의 성격, 즉 사상과 판단, 그리고 그것에 인도된 행동을 낳는 것은 아니다. 영향을 받을 수는 있으나 필연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역사학에서 개인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문이 심정학이다. 심정학이란 말은 미제스가 심리학이란 말이 통속적으로 자연과학적으로 이해되는 데 문제가 있다고 느껴 사회과학적인 개념으로 만든 말이다. 이는 독심술 혹은 관심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인데,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읽는 통찰력과 관련이 있다. 이는 인간의 정서, 열의, 사상, 가치 판단, 그리고 의지에 대한 인식도 의미한다. 이는 물론 역사학자들에게는 물론이고 시, 소설, 연극 대본을 쓰는 저자들에게도 필요불가결하고, 나아가 모든 사람이 일상 행위를 할 때 필요불가결한 재능이다. 이 재능을 활용해 역사학은 특유의 이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은 과학의 다른 부문들의 도움을 받듯이 심정학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받아야 한다.

나아가 역사학은 과학이론의 도움을 받아서 새로 쓸 수 있고, 또 써야 한다. 이때 과학 이론은 그 자체로 진위가 검증되어야 한다. 그것에 대해 마르크스주의나 지식사회학처럼 계급 이해관계의 반영인 양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미제스 말대로 옳지 않은 이론이 계급 이해관계에도 맞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검증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급적 증오나 비난에 호소하는 것이라면 더더욱 옳지 않다.


역사주의는 인간사의 영역 안에 있는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그것이 발전했던 방식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옳다. 역사주의자들의 치명적 실수는 과거에 대한 이 분석이 그 자체로 미래의 행동이 취해야 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해 준다는 [잘못된] 믿음에 있다. 역사적 설명이 제시하는 것은 상황에 대한 묘사다.




  1. 서론
    1. 방법론적 이원주의
    2. 경제학과 형이상학
    3. 규칙성과 예측
    4. 자연법칙이라는 개념
    5. 인간 지식의 한계
    6. 규칙성과 선택
    7. 수단과 목적
  2. 1부 가치
    1. 1장 가치 판단
      1. 가치 판단과 존재의 명제
      2. 가치 판단과 행동
      3. 가치 판단의 주관성
      4. 가치 판단이 가지는 논리·맥락 구조
    2. 2장 지식과 가치
      1. 편파성 학설
      2. 공동의 복리 대 특수한 이해관계
      3. 경제학과 가치
      4. 편파성과 불관용
    3. 3장 절대적 가치 탐색
      1. 쟁점
      2. 사회 내의 갈등
      3. 소위 중세 시대의 만장일치에 대한 촌평
      4. 자연법 사상
      5. 계시
      6. 무신론적 직관
      7. 정의의 사상
      8. 효용주의 학설의 재진술
      9. 미학적 가치에 관해
      10. 절대적 가치 추구의 역사적 의미
    4. 4장 가치 판단에 대한 부정
  3. 2부 결정론과 유물론
    1. 5장 결정론과 그에 대한 비판
      1. 결정론
      2. 사상 체계 요소의 부정
      3. 자유의지 논쟁
      4. 예정론과 숙명론
      5. 결정론과 처벌론
      6. 결정론과 통계학
      7. 인간행동과학의 자율성
    2. 6장 유물론
      1. 유물론의 두 변종
      2. 분비물 유추
      3. 유물론의 정치적 함의들
    3. 7장 변증법적 유물론
      1. 변증법과 마르크스주의
      2. 물질적 생산력
      3. 계급투쟁
      4. 사상 체계에 맞는 사고의 주입
      5. 사상 체계들 간의 갈등
      6. 사상과 이해관계
      7. 부르주아의 계급 이해관계
      8. 마르크스주의 비판
      9. 마르크스주의 유물론과 사회주의
    4. 8장 역사철학
      1. 역사학의 주제
      2. 역사철학의 주제
      3. 역사학과 역사철학의 관점 차이
      4. 역사철학과 신 사상
      5. 능동적 결정론과 숙명론적 결정론
  4. 3부 역사학의 인식론적 문제들
    1. 9장 역사학의 개별성 개념
      1. 역사학의 궁극적 기정사실
      2. 역사학에서 개인의 역할
      3. 집단이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망상
      4. 역사를 계획하기
    2. 10장 역사주의
      1. 역사주의가 의미하는 것
      2. 경제학의 거부
      3. 역사 변화의 법칙 탐구
      4. 역사주의적 상대주의
      5. 역사의 해체
      6. 역사 되돌리기
      7. 경제사 되돌리기
    3. 11장 자연과학주의의 도전
      1. 실증주의와 행태주의
      2. 집단주의자의 도그마
      3. 사회과학이라는 개념
      4. 대중 현상의 본성
    4. 12장 심리학과 심정학
      1. 자연주의적 심리학과 심정학
      2. 심정학과 인간행동학
      3. 심정학은 역사 과목의 하나
      4. 역사학과 허구
      5. 합리화
      6. 내적 성찰
    5. 13장 역사학 연구의 의미와 용도
      1. 역사학을 왜 하는가?
      2. 역사적인 상황
      3. 먼 과거의 역사
      4. 역사를 왜곡하기
      5. 역사학과 인본주의
      6. 역사학과 침략적 민족주의의 대두
      7. 역사학과 가치 판단
    6. 14장 역사학의 인식론적 특징들
      1. 자연과학의 예측
      2. 역사학과 예측
      3. 역사학 특유의 이해
      4. 심정학적 경험
      5. 현실적 유형과 이상적 유형
  5. 4부 역사의 경로
    1. 15장 역사의 철학적 해석
      1. 역사철학 그리고 역사의 철학적 해석
      2. 환경결정론
      3. 인류 평등주의자의 역사 해석
      4. 인종주의적 역사 해석
      5. 서구 문명의 세속주의
      6. 반세속주의에 의한 자본주의의 거부
    2. 16장 오늘날의 경향과 미래
      1. 자유를 향한 경향의 뒤집힘
      2. 부와 소득에서 평등 사상 체계의 대두
      3. 인류의 완벽한 상태라는 망상
      4. 소위 진보를 향한 꺾이지 않는 경향
      5. ‘경제적’ 자유의 억압
      6. 미래의 불확실성
루트비히 폰 미제스 (Ludwig von Mises) 2019.11.23 추천 0 조회 1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