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제스 연구소

        

  • Home
  • ABOUT
    • 구성원
    • 사업 현황
    • 정관
    • 미국 미제스 연구소와의 관계
  • MISES WIRE
    • 국내 칼럼
      • 경제학
      • 철학
      • 역사
      • 인물
      • 정치·외교
      • 사회·문화
      • 자유주의
      • 리뷰
    • 해외 칼럼
      • 경제학
      • 철학
      • 역사
      • 인물
      • 정치·외교
      • 사회·문화
      • 자유주의
      • 리뷰
  • LIBRARY
    • 번역 칼럼 / 논문
      • 경제학
      • 철학
      • 자유주의
    • 국내 자료
      • 경제학
      • 철학
      • 자유주의
    • 오스트리아 경제학 알아보기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이란?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역사 및 주요 인물
        • 오스트리아학파의 창시자: 카를 멩거 (Carl Menger)
        • 오스트리아학파 자본론의 창시자: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 (Eugen von Böhm-Bawerk)
        • 오스트리아학파 3대 거장: 루트비히 폰 미제스 (Ludwig von Mises)
        • 오스트리아학파 3대 거장: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 오스트리아학파 3대 거장: 한스 헤르만 호페 (Hans Hermann-hoppe)
        • 오스트리아학파와 자유주의의 수호자, 론 폴 (Ron Paul)
        • 헤수스 우에르타 데 소토 (Jesús Huerta de Soto)
        • 한국 오스트로-리버테리어니즘의 아버지, 전용덕 교수
      • 오스트리아학파의 필독서
      • 한국의 오스트리아학파와 자유주의
      • 인간행동학 (Praxeology)
      • 사회주의 계산 논쟁 (The Socialist Calculation Debate)
      • 경기변동이론 (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 아나코-캐피탈리즘 (Anarcho-Capitalism)
      • 논증윤리 (Argumentation Ethics)
    • 미제스의 저서들
    • 라스바드의 저서들
    • 호페의 저서들
    • 론 폴의 저서들
    • 전용덕 교수의 주요 저서
    • 전용덕 교수의 주요 논문
    • 전용덕 – 진단과 처방 (2019)
    • 리버테리언 저서들
  • STORE
    • 장바구니
  • NOTICE
    • 칼럼 투고 및 번역자료 제출 요령
  • VIDEO
  • SUBSCRIBE
  • CONTACT
  • Donation
  • Mises Institute
  • Ron Paul Institute
  • The Future of Freedom Foundation
  • LewRockwell.com
  • Antiwar.com
0
HomeLIBRARY라스바드의 저서들

라스바드의 저서들

[1974/2022] 국가의 해부 · Anatomy of the State
우리는 국가가 가장 강력하게 경계하고 처벌하는 범죄 유형이, 민간인에 대한 범죄인지, 아니면 국가 자신에 대한 범죄인지 질문을 함으로써, 국가가 국민의 보호보다 스스로의 안위에 더 관심이 많다는 가설을 시험해볼 수 있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22.01.17 ㆍ Votes 5 ㆍ Views 6746
[1973/2021] 루트비히 폰 미제스: 삶과 업적의 핵심정리 · The Essential von Mises
루트비히 폰 미제스 사망 1 년 후, 라스바드는 미제스주의 경제학, 정치적 견해, 그리고 사회과학에 있어 미제스의 위상 등을 새로운 세대에게 설명하기 위해 이 책을 저술했다. 머지않아 이 책은 매우 비상한 명성을 얻었고, 여전히 현존하는 그 어떤 책보다도 미제스의 불멸성에 가장 뛰어난 설명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정말로 미제스라는 위대한 인물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할 정수를 담고 있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21.09.24 ㆍ Votes 1 ㆍ Views 3180
[1962/2006/2019] 인간 경제 국가 · Man, Economy, and State
수 년에 걸친 현명하고 통찰력 있는 연구의 결과로, 체계적이고 방대한 경제학 일반이론인 '인간, 경제, 국가'를 발표함으로써, 라스바드는 탁월한 경제학자의 반열에 올랐다. ... 인간행동의 일반과학, 인간행동학, 그리고 실질적으로 인간행동학의 가장 중요하고, 가장 정교하게 발달한 부분인 경제학에 매우 획기적인 기여이다. 관련된 지식 분야에 관한 모든 본질적인 연구는 라스바드 박사가 상세히 기술한 이론과 비판을 충분히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 루트비히 폰 미제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1 ㆍ Views 3118
[1982/2016] 자유의 윤리: 정의, 자유의 기초가 되다 · The Ethics of Liberty
대중이 국가의 불법성을 확실하게 인식하게 되고, 그것을 그저 거대한 도적패거리 정도로만 여기게 된다면, 국가는 곧 붕괴되어 일반적인 마피아 조직과 같은 지위와 크기를 공유하게 될것이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0 ㆍ Views 2857
[1973/2013] 새로운 자유를 찾아서: 자유지선주의 선언 · For a New Liberty: The Libertarian Manifesto
만약 인간이 자기소유권과 자신의 삶을 통제할 권리를 가진다면, 또한 현실세계에서 자원을 취득하고 변형함으로써 그의 삶을 유지할 권리도 가져야 한다. 그는 그가 서 있고, 사용해야 하는 자원과 토지를 소유할 수 있어야 한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0 ㆍ Views 2733
[1963/2011] 정부는 우리 화폐에 무슨 일을 해왔는가? · What Has Government Done to Our Money?
요컨대, 자유는 경제의 여타 영역과 마찬가지로, 화폐제도 역시 운영할 수 있다. 많은 저술가의 주장과 달리, 광범위한 정부 통제가 운영하는 화폐에 특별한 이점은 없다. 자유인들이 경제적으로 원하는 모든 것을 가장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 처럼, 화폐에서도 그렇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1 ㆍ Views 2575
[2019] Rothbard A to Z · 라스바드의 모든 것
머레이는 움직이는 도서관과 다름 없었다. 그는 엄청난 양의 문헌을 읽고 소화했지만, 결과적으로 겸손한 사람이었다. 그는 자신이 어떤 '독창적인' 주장을 한다고 말하는 것을 항상 꺼리고 매우 회의적이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이 '독창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많은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임을 알고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머레이는 자신의 업적조차 다른 사람들에게 공을 돌리는 데 매우 관대했다. 그리고 다른 누군가의 질문에 조언을 해주는 것도 너그러웠다. 사실, 상상 가능한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그는 당신의 머리 꼭대기 위에 서서 광범위한 설명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또한, 그는 가장 성적이 안좋은 학생들에게도 발전을 위한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0 ㆍ Views 1531
[2017] The Progressive Era · 진보 시대
정부가 건설한 대륙횡단철도의 주된 문제점은, 그들이 시장 저축을 통해 자금을 조달받은 것이 아니라 정부 융자와 토지 보조금에 의존했기 때문에, 사업이 손익계산에 기초해 계획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조금을 통해서, 정부는 소비자들이 마땅히 돈을 썼을 곳이 아니라 다른 영역으로 자원을 빼돌렸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0 ㆍ Views 1796
[2016] The Rothbard Reader · 라스바드 읽기
자유주의에 따르면, 폭력의 유일하고 적절한 역할은, 다른 폭력에 맞서 사람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다. 또 정당한 방어를 넘어서는 폭력의 사용은, 그 자체로 공격적이고, 부당하고, 범죄적이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0 ㆍ Views 1881
[2014] Left, Right, and the Prospects for Liberty · 좌파, 우파, 그리고 자유의 전망
자유주의자에게 있어 오늘날 가장 중요한 임무는, 불필요하고 우리를 쇠약하게 만드는 비관주의를 내던지고, 장기적 승리를 목표로 삼아 그 달성을 위한 길을 개척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아마도 자유주의자는 이념적 스펙트럼에 대한 자신의 (그릇된) 견해를 과감히 재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유주의자는 자신의 친구와 자연적 동맹은 누구이며, 또 적이 누구인지 확실하게 인식해야할 것이다.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ㆍ 2019.11.23 ㆍ Votes 0 ㆍ Views 1934
  • 1
  • 2
  • 3
  • »
  • Last
Powered by KBoard

Sidebar

Please navigate to Appearance → Widgets in your WordPress dashboard and add some widgets into the Sidebar widget area.

머레이 라스바드 (1926-1995)

머레이 뉴턴 라스바드(Murray Newton Rothbard, 1926년 3월 2일 – 1995년 1월 7일)는 매우 지적이고 박학다식한 학자였으며, 주로 경제학, 정치철학—특히 ‘자유주의(libertarianism)’—, 경제사, 그리고 법률 이론에 중대한 공헌을 남겼다. 그는 루트비히 폰 미제스(Ludwig von Mises)의 저술을 바탕으로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을 개발하고 확장하였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라스바드는 오스트리아학파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론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고, 1929년의 대공황과 미국의 은행사와 같은 역사적 사건에 오스트리아학파의 이론을 응용하기도 했다. 계속보기

https://youtu.be/jt4lydYtRVg
https://youtu.be/Pv5PVUp_bFg

MISES INSTITUTE LIBRARY

BOOKS & LIBRARY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 알아보기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이란?
  • 오스트리아학파의 역사
    • 카를 멩거 (Carl Menger)
    •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 (Eugen von Böhm-Bawerk)
    • 루트비히 폰 미제스 (Ludwig von Mises)
    • 머레이 라스바드 (Murray N. Rothbard)
    • 한스-헤르만 호페 (Hans-Hermann Hoppe)
    • 헤수스 우에르타 데 소토 (Jesús Huerta de Soto)
    • 론 폴 (Ron Paul)
    • 전용덕 교수
  • 오스트리아학파의 필독서
  • 한국의 오스트리아학파와 자유주의
  • 인간행동학 (Praxeology)
  • 사회주의 계산 논쟁 (The Socialist Calculation Debate)
  • 경기변동이론 (Austrian Busniess Cycle Theory)
  • 아나코-캐피탈리즘 (Anarcho-Capitalism)
  • 논증윤리 (Argumentation Ethics)

미제스 코리아를 후원해주세요

미제스 연구소 신간도서

https://youtu.be/QdhThXqJSLo
CONTACT US

miseskorea@miseskorea.org
allenjeon@miseskorea.org

GET NEWS AND ARTICLES IN YOUR INBOX

BROWSE LIBRARY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이란?
  • 오스트리아학파의 역사
  • 오스트리아학파의 3대 거장: 미제스, 라스바드, 호페
  • 자유의 챔피언 론 폴
  • 전용덕 교수
  • 미제스 와이어
  • 미제스 코리아 추천도서
  • 미제스 코리아 공지사항
  • 미제스 코리아 스토어
ABOUT THE MISES KOREA
  • 미제스 연구소와 미제스 코리아
  • 미제스 코리아 구성원
  • 미제스 코리아 사업현황
  • 미제스 코리아 정관
  • 칼럼 투고 가이드라인
  • 멤버십 안내
  • 후원 안내
  • 후원내역 확인하기
Follow on Facebook

2020 l Mises Institute Korea l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전계운(allenjeon@miseskorea.org) l 개인정보 보호정책 : https://miseskorea.org/privacy-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