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는 언제나 정부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Liberty is always freedom from the government.)

-루트비히 폰 미제스 (Ludwig von Mises)

칼럼 및 번역자료 투고 요령 안내

소비지상주의를 부추키는 근원은 자본주의가 아니라 정부다

해외 칼럼
경제학
작성자
작성일
2022-02-25 00:23
조회
951

McMaken-300x300.png

Ryan McMaken
라이언 맥메이큰은 미제스 연구소의 편집장이다.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경제학과 정치학을 전공하고, 콜로라도 주정부에서 10년 동안 주택 담당 경제학자로 근무하였다.

주제 : #자본주의

원문 : Capitalism Doesn't Cause Consumerism - Government Do
번역 : 한창헌 연구원

소비지상주의(consumerism)에 대한 비난은 현대 미디어와 대중문화 속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1965년에 제작된 "찰리 브라운 크리스마스"(A Charlie Brown Christmas)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이런 모습을 알고 있을 것이다. 찰리 브라운이 '진정한' 크리스마스를 보내기 위해 대량으로 생산된 화려한 알루미늄 크리스마스 트리 대신에 작은 천연 크리스마스트 트리를 구입하는 것을 볼 때마다 우리는 기업의 마케터들에게 속아 넘어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되뇌인다.

그때 이후로 변한 것은 거의 없다. 최근 라이프스타일 잡지에서 "소비지상주의의 유혹에 저항하는 9가지 방법"이라는 헤드라인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HuffPo에서는 "블랙 프라이데이의 광적인 소비지상주의 속에서 쇼핑하는 대신 해야 할 4가지 것들"이라는 헤드라인을 찾아볼 수 있다. 

좀 더 권위 있는 발언을 살펴보자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근 몇 달 동안 거듭해서 소비지상주의를 비난하였고, 영국의 정치인 켄 리빙스톤(Ken Livingstone)은 소비지상주의가 기후변화를 일으키며, 따라서 "우리 아이들의 세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시장과 자본주의의 옹호자들은 종종 이러한 비판을 시장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으로 받아들인다. 

소비주의와 자본주의의 이러한 반사적인 결합은 종종 시장 옹호자들에 의한 소비지상주의의 열렬한 방어로 이어지곤 한다. 마치 소비지상주의를 옹호하는 것이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나는 이러한 이러한 태도가 잘못되었다고 제안하고 싶다. 소비지상주의와 자본주의는 동일한 것이 아니며, 이 둘이 반드시 연결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물론 반(反)자본주의 좌파는 이러한 연결을 만들고 싶어하며, 소비지상주의에 대한 대중의 반대 여론을 조성하여 시장 전반에 대한 보편적인 반대로 발전시키길 원한다. [위와 같은 태도는] 좌파들로 하여금 시장과 소비주의 사이에 의심할 여지가 없는 연관성을 확립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소비지상주의와 자본주의가 동일하다는] 신화를 영속시키도록 도울 뿐이다. 

소비지상주의란 정확히 무엇인가?

소비지상주의에 대한 논쟁은 언제나 한심할 정도로 핀트가 맞지 않다. 따라서 논의를 진행하기 전에, 소비지상주의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위키피디아를 참조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는 일반적으로 대상에 대한 대중적인 정의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위키피디아는 소비지상주의를 "상품과 서비스의 구입을 계속해서 증가하도록 부추키는 사회적, 경제적 질서"라고 정의한다. 또한 미리엄-웹스터 사전(Mirriam-Webster)은 우리의 목적에 도움을 주는 두 가지 정의를 제공한다.

  1. 상품의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이론
  2. 소비재 구매에 대한 선호와 집착

이러한 정의들 속에서 우리는 특정한 탐욕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소비지상주의는 상품의 소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좋은 현상이라는 믿음이다. 

시장이 소비지상주의를 조장하고 이에 의존한다는 이론

위의 정의들은 충분히 정확하다. 그러나 왜 자본주의가 소비지상주의 때문에 비난을 받아야 하는가?

역사적으로 자본주의는 대체로 구두쇠 그리고 노동, 저축, 절약을 상당히 강조하는 경제학 이론가들과 관련이 있다. 스크루지(Ebenezer Scrooge) 영감은 단언컨데 영문학사상 가장 유명한 자본주의자 악당일 것이다. 하지만 스크루지 영감은 크리스마스가 소비지상주의를 부추긴다며 크리스마스를 비난한 것으로 악명 높다. 이와 마찬가지로, 막스 베버(Max Weber)가 주창한 이른바 '프로테스탄트 직업 윤리'(protestant work ethic)'에 의하면 이를 지지하는 친(親)자본주의자들은 과도한 소비를 거듭해서 비난하는 한편, 저축과 근면을 찬양한다. 학자들은 18, 19세기 미국 문화에서 도덕적, 자본주의적 의무로서 기능했던 '절약'의 역할에 주목해 왔다.

자본주의가 한때는 돈을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과 연관되었다면, 왜 오늘날에는 [자본주의가] 끝없는 소비에 집착하게 만드는 근원으로 지목되고 있는가?

여기서 좌파가 사용하는 이론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다: 자본주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더 높은 수준의 소비가 필요하다. 사람들이 더 이상 눈에 띄는 수준으로 돈을 낭비하지 않는다면, 자본주의는 스스로 무너질 것이다.  이는『정치학 및 법학 저널』(Journal of Politics and Law)에서 아마드 얀시즈(Ahmad Jansiz)가 소비지상주의에 대해 제시한(놀라울 정도록 부정확하게) 설명 속에 요약되어 있다. 얀시즈는 그의 2014년도 논문 「소비주의의 이념: 소비지상주의 사회에 맞선 도전」(The Ideology of Consumption: The Challenges Facing a Consumerist Society)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생산, 판매, 투자, 그리고 다시 한번 더 많은 생산이 필수적으로 고려된다. 다시 말해, 각 주기에서 목표는 더 많은 재화를 판매하고 더 많은 수익을 버는 것이다.

처음에서는 상류층이 자본주의 상품의 주요 구매자라고 믿었지만, 곧이어 대량 생산에는 수 많은 소비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상류층 가정은 그 수가 충분히 많지 않기 때문에, 수 많은 소비자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1차 생산에서는 소비자의 생물학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지만, 소비자의 생물학적 필요는 그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소비사회 속에서 비생물학적 필요를 창출해야 했다. 비생물학적 필요는 제한적이 않으면서도, 생산자가 그들의 목표 중 하나인 대량생산이라는 특성을 잃지 않게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목표로 인해,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대량 생산품이 빠르게 소비되도록 하는 거짓 된 필요가 창출되었다. 다른 사회에서도 이러한 패턴이 만연하게 되었고, 사회가 점점 약화되거나 자본주의에 완전히 굴복했다. 자본주의는 현재 전세계에서 생산과 소비의 패턴을 지배하고 있다. 

이 이론의 창시자들에게는 안타깝지만, 자본주의에 대한 이러한 묘사는 상당히 잘못되었다. 

물론 일부 산업에 대해서는 정확한 관점을 제시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고급 차량이나 고급 구두 제조사는 시장에서의 행위자들이 얀시즈가 말하는 "생물학적 필요" 이상으로 소비하도록 설득할 수 있을 때 이익을 얻는다. 비슷하게 300달러짜리 유명 브랜드의 드레스 구두에 대한 필요는 얀시즈의 용어를 따라 "거짓된 필요"라고 그럴듯하게 부를 수 있다. 

하지만 값비싼 의류와 대형 SUV를 판매하는 회사들이 유일한 시장참여자인 것은 아니다. 시장에는 소비지연을 목적으로 장기 저축과 투자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노후 저축 계좌나 투자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들 역시 존재한다.  

확실히, 노후 펀드나 저축 계좌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디자이너 청바지를 판매하는 회사들보다 덜 '자본주의적'이지는 않다. 스크루지 영감은 분명 고급 자동차 판매자들을 비난하면서도 노후 펀드 회사들에게는 미소를 지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시장과 자본주의가 소비재들의 즉각적인 소비에 모든 돈을 탕진하도록 요구하는 기업들에 한정해서 상징화 되어야 한다고 믿어야겠는가? 

잘못된 경제학 = 지출이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믿음

해답은 경제 성장에 대한 잘못된 대중적인 개념에 놓여있다.  좌-우파를 가리지 않고 건전한 경제 시스템은 거의 전적으로 소비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는 그 개념 말이다. 

우리는 경제성장률 높이거나 혹은 호황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 수요를 늘려야 한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이 점을 떠올리게 된다. 또 우리는 경제 불황 동안 경제학자들이 사람들에게 소비하지 않으면 경제가 붕괴할 것이라고 말할 때마다 이 점을 떠올리게 된다.  

때때로는 이러한 관점이 극단적으로 변하게 되면 우리의 소비가 애국적인 의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것은 단순한 과장이 아니다. 경제, 금융 분야 작가들이 실제로 이렇게 말한다. 예를 들어, 불황이 진정되고 미국이 911테러에 대응하던 2001년으로 돌아가 보자. 딕 체니(Dick Cheney) 부통령은 미국인들이 "테러리스트를 무시하고 (...) 국내에서 일어난 사건이 어떤 식으로는 국민의 정상적인 경제활동 수준을 악화시키지 않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말의 진짜 의미는 "더 많은 물건을 사들이지 않으면 테러리스트들이 승리할 것"이라는 뜻이다. 

2009년에도 토씨도 틀리지 않고 이와 같은 주장이 불쑥 나타났다. 이 당시 경제 '전문가'들은 대공황으로부터 경제를 살리는 방법은 사람들이 더 많이 소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사람들이 고급 전자제품 구입에 저축한 돈을 몽땅 쓰지 않는다면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이 우리 모두를 영원한 불황으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경제는 절대로 그렇게 기능하지 않는다. 2010년에 류 락웰(Lew Rockwell)은 우리가 주류 경제학자들로부터 더 많이 지출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요약했다:

문제는 지출이 경제성장의 원인이 아니라는 점이다. 저축으로부터 시작되는 투자야말로 경제성장의 근원이다. 소비가 경제 활동의 일정 비율을 차지한다는 점은 중요하지 않다. 그것은 눈에 보이는 표면에 불과하다. 저축과 투자가 없는 지출과 소비는 번영의 전망을 암울하게 만드는 잘못된 처방이다. 이 경우, 부자들이 경제성장의 미래를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지출이 아니라 투자를 위한 저축이다.

애초에 어떻게 사람과 경제가 어떻게 부유해지는지를 고려한다면, 이 사실은 자명할 수 밖에 없다. 노동자가 소비재를 소비할 수 있으려면, 먼저 잉여를 얻기 위해선 높은 가치의 재화와 서비스를 충분히 생산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어떻게 노동자들이 더 짧은 시간 안에 더 가치 있는 상품을 생산할 수 있을까? 이는 기계, 컴퓨터, 트랙터, 공장과 같은 자본을 통해서 가능해진다. 이 모든 것이 사용할 수 있기 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겨우 입에 풀칠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살아갔다. 

수세기에 걸친 자본 축적 즉, 저축과 투자를 통한 자본 축적이 이루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산업화가 이루어졌고, 노동자들은 오늘날 우리가 시장 중심 사회에서 누리고 있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생산적으로 변할 수 있었다. 

저축이 없었다면, 기계와 공장을 유지, 개선, 발명, 발전시킬 능력이 사라졌을 것이다. 그리고 그 능력이 사라졌다면, 우리는 겨우 생계를 유지하며 단칸방 오두막에서 살아가는 생활로 돌아갔을 것이다. 

어느 누군가는 "하지만 소비가 없다면, 아무도 이 기업들과 공장들이 생산하는 것들을 사지 않을 것이고, 결국 모든 것이 무너질 것이다!"라고 지적할 수 있다. 

맞는 말이다. 경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소비와 저축이 모두 필요하다. 하지만 이것이 다른 나머지 것들보다 더 중요하지는 않다. 다행히도 시장은 저축과 투자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메커니즘이 내장되어 있다. 이 메커니즘은 '금리'(interest rates)라고 불린다. 금리는 소비자에게 저축하는 것이 좋을지, 소비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알려주는 신호이다. 저축이 모자라는 경우, 금리는 올라가고, 소비자들은 높은 금리로부터 혜택을 얻기 위해 저축을 늘리게 된다. 저축이 풍부할 경우, 금리는 내려가고, 소비자들은 낮은 금리를 이용하여 대출을 늘리고 자동차, 집 혹은 다른 재화들을 구입한다. 

지출을 늘리기 위해 정부가 개입할 경우

하지만 정부와 중앙은행이 개입하여 정부 지출을 더 늘리고 금리를 강제로 인하함으로써 경제를 '부양'하게 되면, 위와 같은 [자유시장경제] 시스템은 무너지게 된다. 

이러한 '부양'은 소비자들이 더 많이 지출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다. 하지만 이것은 시장과 자본주의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것은 정부 개입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시장경제의 일부라 할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이 한동안은 더 많은 지출로 이어지게 만든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정부 개입은 지속 불가능한 부채 수준, 낮은 저축 수준, 과도한 지출 역시 야기한다. 다시 말해, 여기서 우리가 말하는 '소비지상주의'를 야기하는 것은 정부 정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도 자본주의와 시장이 비난을 받는다.


태그 : #주류경제학비판 #간섭주의 #자본과_이자

썸네일 출처 : https://hazlitt.net/category/consume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