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는 언제나 정부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Liberty is always freedom from the government.)

-루트비히 폰 미제스 (Ludwig von Mises)

칼럼 및 번역자료 투고 요령 안내

[3편] 자유주의(libertarianism)란 무엇인가? - 갈등을 피하는 유일한 길: 개인의 자기소유

해외 칼럼
철학
작성자
작성일
2020-04-09 16:20
조회
1543

Stephan Kinsella
* 지적재산권 전문 변호사
* 미제스 아카데미 교수

주제 : #정치철학과_윤리학

원문 : What Libertarianism Is (게재일 : 2009년 7월 29일)
번역 : 김경훈 연구원


[1편] 재산, 권리, 자유에 대한 '일관성 있는' 사상
[2편] 재산으로서의 신체
[4편] '정당한' 사유재산의 형성
[5편/完] 번영과 자유를 위한 최선의 사상

재산권이 없다면, 경합적인 (희소) 자원에 대한 충돌의 위협은 항상 도사린다. 법 체계는 각 자원의 소유자를 배정하고, 비소유자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회피할 수 있는 재산의 가시적인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충돌 없는 자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자유주의는 여러 재산 할당 규칙 중에서 '자기소유(self-ownership)'를 선호한다. 이는 '타자소유(other-ownership)', 즉 노예제에 대한 반대를 의미한다.1

자유주의자는 정의, 평화, 번영, 협력, 갈등 회피, 문명 등 다양한 '근본규범(grundnorms)'2을 받아들이거나 가치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재산 할당 규칙을 탐구한다. 그리고 자기소유가 이러한 근본규범들과 양립할 수 있는 유일한 재산 할당 규칙이라는 것이 자유주의적 견해이다. 그러한 사실은 상기한 근본규범 자체에 의해 암시되고 있다. 호페 교수가 보여주었듯이, 분쟁 회피의 기능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재산 규범은, '주어진 자원(given resources)'에 대한 소유권의 배정을 무작위적이거나, 임의적이거나, 배타적이거나, 편향적으로 행해선 안된다.3 '재산의 소유권(Property title)'은 '소유자와 제기된 자원 사이의 객관적이고 상호주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연결의 존재(the existence of an objective, intersubjectively ascertainable link between owner and the resource claimed)'라는 기준에 근거하여, 경쟁하는 권리 주장자 중 한 명에게 배정되어야 한다.4 신체 소유권의 경우, 분명 모든 사람은 자기 신체에 대해 제3의 권리 주장자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다. 이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근거는, 특정 사람과 특정 신체 사이의 독특한 관계, 즉, '직접적이고 즉각적인(direct and immediate)' 통제에 있다. 적어도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는 신체가 곧 주어진 사람과 다름 없으며,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게다가, 타인의 신체를 소유한다고 주장하는 외부인이라면, 누구나 이 객관적 연결고리와 그 특수한 지위를 부정할 수 없다. 그 외부인 역시 자신에 대해서 반드시 이 연결고리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신체에 대한 지배를 추구하고 소유권을 주장한다면, 그는 자기 신체에 대한 자신의 소유권을 전제하기 때문에 그럴 수 있는 것이다. 즉, 외부인은 사람-신체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동시에,5 그러한 연결고리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스스로 증명하는 것이다.

[역주: 다른 사람의 신체를 자기가 소유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자기 스스로 자신의 신체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할 수 있다. 소유는 배타적 통제를 의미한다. 그는 자기 신체를 배타적으로 통제하기 때문에 그런 행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는 자기를 소유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자신이 자기 신체를 소유한다는 점을 암묵적으로 전제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의 경우에는 그런 연결고리가 이어지지 않는다고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수행 모순(performative contradiction)', 즉 “반박주장이 반박대상을 암시적으로 인정하는 논리적 역설”이다.]

자유주의는 오직 자기소유의 법칙만이 보편화될 수 있으며, 평화, 협력, 갈등 회피라는 목표와 양립할 수 있음을 인지한다. 자유주의자는 모든 사람이 자기 신체에 대하여 '잠정적으로 자명한(prima facie)' 소유자라는 점을 인지한다. 자기 자신이 자기 신체에 대해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독특한 연결고리 덕분에, 다른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이 자기 신체에 대해 더 나은 권리를 가지기 때문이다.




태그 : #자유주의일반

  1. (원문 13번) 재산 규칙의 출현에 있어 '희소성(scarcity)' 개념과 '갈등(conflict)'의 가능성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하여, Hoppe, A Theory of Socialism and Capitalism, p. 134 를 보라;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로서 Stephan Kinsella, "Thoughts on the Latecomer and Homesteading Ideas; or, Why the Very Idea of 'Ownership' Implies that only Libertarian Principles are Justifiable," Mises Economics Blog (Aug. 15, 2007) 를 보라.
  2. (원문 14번) '근본규범'은 법 체계가 가지는 합법성의 기초 혹은 궁극적 원천으로 작용하는 가설적인 기본 규범 혹은 규칙을 뜻하는 용어로서, 법철학자 한스 켈젠(Hans Kelsen)이 처음 사용하였다. Hans Kelsen, General Theory of Law and State, trans. Anders Wedberg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49) 를 보라. 나는 이 용어를 문명인이 전제하는 기본적 규범들, 예컨대 결국 자유주의 규범을 암시하는 '논쟁적 담론(argumentative discourse)'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사실, 자유주의적 근본규범은 모든 문명인이 그들이 문명화된 정도까지 '논쟁적 정당화(argumentative justification)'의 과정에서 반드시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은 호페가 자유주의 권리이론에 대한 자신의 '논증윤리(argumentation ethics)' 논변에서 보여준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Hoppe, A Theory of Socialism and Capitalism, chapter 7; Stephan Kinsella, "New Rationalist Directions in Libertarian Rights Theory," Journal of Libertarian Studies 12, no. 2 (Fall 1996): 313–26; idem, "Defending Argumentation Ethics," Anti-state.com (Sept. 19, 2002) 를 보라.

    왜 사람들이 (어느 정도는) 이러한 근본규범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더 알고 싶다면, Stephan Kinsella, "The Division of Labor as the Source of Grundnorms and Rights," Mises Economics Blog (April 24, 2009), 그리고 idem, "Empathy and the Source of Rights," Mises Economics Blog (Sept. 6, 2006). 또한 idem, "Punishment and Proportionality," pp. 51 와 pp. 70 에서 말하듯:

    "문명화된 사람들은 ... 처벌을 정당화하는 것에 대해 염려한다. 그들은 처벌하기를 원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처벌이 정당한 이유를 알고 싶어한다. 그들은 합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기를 원한다. ... 처벌에 대한 이론은 처벌의 정당화를 다룬다. 그것은 부도덕한 행동을 싫어하는 점잖은 사람에게, 다른 사람들을 처벌할 수 있는 이유를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물론 도덕적인 사람들이 그들을 해치려는 사람들에 적절하게 맞설 수 있다는 본보기와 확신을 심어주는 데 유용하다."

  3. (원문 15번) Hoppe, A Theory of Socialism and Capitalism, pp. 131–38. 를 보라. 또한 Kinsella, "A Libertarian Theory of Punishment and Rights," pp. 617–25; idem, "Defending Argumentation Ethics." 를 보라.
  4. (원문 16번) Hoppe, A Theory of Socialism and Capitalism, p. 12.
  5. (원문 17번) 이 점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Stephan Kinsella, "How We Come To Own Ourselves," Mises Daily (Sept. 7, 2006); idem, "Defending Argumentation Ethics"; Hoppe, A Theory of Socialism and Capitalism, chapters 1, 2, and 7 를 보라. 또한 Hoppe, "The Idea of a Private Law Society," LewRockwell.com (August 1, 2006)에 따르면: "희소성으로 가득 찬 에덴 동산의 밖에서는, (사회적 질서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즉,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규칙의 필요성) 이 4개의 상호관련된 규칙에 의해 제공된다. ... 첫째, 모든 사람은 자기 신체에 대한 적절한 소유자이다. 크루소가 아니라면 누가 크루소 몸의 주인이 될 수 있겠는가? 만약 크루소가 자기 신체의 주인이 될 수 없다면, 그것은 노예제도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가? 그리고 노예제도는 부당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지 않은가?"